휴대폰 요금도 줄일 수 있다면 줄여야 하는 요즘, 정부에서는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장애인 등 저소득층을 위한 통신요금 할인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2025년 기준으로도 최대 월 26,000원까지 요금 감면이 가능하며, 인터넷과 유·무선 통신 전체에 적용됩니다.
이번 글에서는 지원 대상, 감면 금액, 신청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 드립니다.
✅ 통신요금 할인제도란?
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통신 3사(SK, KT, LG U+)가 협약해 소득이 낮은 가구 또는 사회적 배려계층을 대상으로 이동전화, 인터넷, 집전화 등의 요금을 할인해 주는 공공지원 제도입니다.
📌 2025년 통신요금 할인 대상
1️⃣ 기초생활수급자
- 생계급여 / 의료급여 수급자
- 주거급여 / 교육급여 수급자
2️⃣ 차상위계층
- 차상위본인부담경감 대상자
- 한부모가족, 장애(등록 장애인 포함)
3️⃣ 사회복지시설, 기초연금 수급자 등
※ 수급자 또는 대상자가 명의자일 경우 할인 적용 가능
📱 이동전화 요금 감면 금액
구분 | 지원 내용 | 최대 할인액 |
---|---|---|
생계·의료급여 수급자 | 기본료 면제 + 데이터 3GB 제공 | 26,000원/월 |
주거·교육급여 수급자 | 기본료 할인 + 통화료 감면 | 14,000원/월 |
차상위계층 | 기본료 + 통화료 감면 | 11,000원/월 |
※ 할인은 월 정액 요금제 기준이며, 선불 요금제는 적용 제외됩니다.
🌐 유선전화·인터넷 요금 할인
- 📞 유선전화: 월 기본료 및 시내외 통화료 감면 (최대 50%)
- 🌐 초고속인터넷: 월 11,000원 한도 내 기본료 감면
- 📺 IPTV: 일부 복지 요금제 별도 제공 (통신사별)
3년 이상 감면 시 재신청 필요 (자동 갱신 아님)
📥 신청 방법
- ① 본인 명의 휴대폰 또는 인터넷 명세서 준비
- ② 통신사 고객센터 또는 대리점 방문
- ③ 주민센터에서 발급한 수급자 확인서류 제출
- ④ 감면 신청서 작성 → 즉시 할인 적용 또는 익월부터 적용
✔️ 통신 3사 고객센터 번호 - SKT: 114 / KT: 100 / LG U+: 101
📱 통신사 복지 요금제 비교 팁
- 📌 SKT: ‘사랑의 요금제’, ‘행복커뮤니티’ 등
- 📌 KT: ‘복지할인 스마트 요금제’
- 📌 LG U+: ‘희망 나눔 요금제’
요금제마다 데이터 제공량, 음성 기본제공 시간 등이 다르니 신청 전 통신사별 복지요금제 비교 필수!
💬 실제 수급자 후기
“SKT 복지요금제로 바꾸고 월 2만 원 넘게 아꼈어요. 인터넷도 할인돼서 진짜 도움 됩니다.” – 서울 은평구 거주 50대 이○○
“KT 대리점에서 신청했는데 10분 만에 적용됐어요. 한 달 요금이 확 줄었습니다.” – 부산 1인 가구 김○○
✅ 함께 보면 좋은 글
📝 마무리
매달 통신요금이 부담된다면, 정부에서 도와드립니다.
2025년 현재 저소득층을 위한 통신요금 할인제도는 한 달에 많게는 2~3만 원까지도 절약할 수 있는 꿀제도입니다.
지금 바로 본인의 대상 여부를 확인하고, 통신사 대리점 또는 고객센터에 문의해 보세요!